SNC Lab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SNC Lab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전체 카테고리
    • 글로벌 접근성 동향
    • 전자문서 접근성 실전 가이드
    • 오류유형으로 살펴보는 웹 접근성 지침
    • UX

검색 레이어

SNC Lab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2020년 2월 21일 리포트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민간 기업, 정부, NGO, 개인에 의해 접근성을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세계에 많은 당사자와 접근성 전문가들이 현재 기술을 접근성 관점에서 진단하고, 개선을 위한 의견들을 개진하고 있습니다. 하여 저희는 세계의 많은 아이디어를 통해 지금 우리 현재를 돌아보고 새로운 인사이트를 여러분과 함께 찾으려 라는 콘텐츠를 발행합니다. 특히 비교적 주목받지 못했던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의 접근성을 향한 노력도 소개할 것입니다. 는 세계 민간 기업들이 기울이는 접근성에 대한 노력과 정부의 정책, NGO의 프로그램을 소개함은 물론 접근성에 대한 여러 오피니언을 요약/소개할 예정입니다. 이 콘텐츠는 격주에 1회 발행됩니다. 가 여러분들의 접근성 개선 노력에 조금이나마..

글로벌 접근성 동향 2020. 3. 24. 16:54

2020년 2월 7일 리포트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민간 기업, 정부, NGO, 개인에 의해 접근성을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세계에 많은 당사자와 접근성 전문가들이 현재 기술을 접근성 관점에서 진단하고, 개선을 위한 의견들을 개진하고 있습니다. 하여 저희는 세계의 많은 아이디어를 통해 지금 우리 현재를 돌아보고 새로운 인사이트를 여러분과 함께 찾으려 라는 콘텐츠를 발행합니다. 특히 비교적 주목받지 못했던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의 접근성을 향한 노력도 소개할 것입니다. 는 세계 민간 기업들이 기울이는 접근성에 대한 노력과 정부의 정책, NGO의 프로그램을 소개함은 물론 접근성에 대한 여러 오피니언을 요약/소개할 예정입니다. 이 콘텐츠는 격주에 1회 발행됩니다. 가 여러분들의 접근성 개선 노력에 조금이나마..

글로벌 접근성 동향 2020. 3. 24. 16:50

2020년 1월 21일 리포트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민간 기업, 정부, NGO, 개인에 의해 접근성을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세계에 많은 당사자와 접근성 전문가들이 현재 기술을 접근성 관점에서 진단하고, 개선을 위한 의견들을 개진하고 있습니다. 하여 저희는 세계의 많은 아이디어를 통해 지금 우리 현재를 돌아보고 새로운 인사이트를 여러분과 함께 찾으려 라는 콘텐츠를 발행합니다. 특히 비교적 주목받지 못했던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의 접근성을 향한 노력도 소개할 것입니다. 는 세계 민간 기업들이 기울이는 접근성에 대한 노력과 정부의 정책, NGO의 프로그램을 소개함은 물론 접근성에 대한 여러 오피니언을 요약/소개할 예정입니다. 이 콘텐츠는 격주에 1회 발행됩니다. 가 여러분들의 접근성 개선 노력에 조금이나마..

글로벌 접근성 동향 2020. 3. 24. 16:21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로 접근성을 고려한 doc 문서 만들기

들어가며 오늘날 Youtube를 중심으로 동영상 콘텐츠가 인기를 끌면서 많은 콘텐츠가 영상으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전문화된 업무자료나 교육용 자료 등은 상당부분 여전히 전자문서로 되어 있으며, 한편 문서로써 필요하기도 한 것이 사실입니다. 문서와 영상은 서로 대체할 수 없는 영역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한 가지 질문이 떠오릅니다. 그렇다면 현재 교육현장, 기업, 공공 기관 등 여러 곳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문서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만약 지금의 전자문서를 사용하는 데에 문제를 겪는 사용자 유형이 있다면 어떤 사용자들이며, 무엇 때문에 전자문서 사용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을까요? 전자문서에도 접근성 기준이 있다? 어느덧 국내에도 웹 접근성은 비교적 친숙한 개..

전자문서 접근성 실전 가이드 2020. 3. 24. 16:02

입력 서식에 레이블 제공하기

사용자로부터 값을 입력 받을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입력 서식이라고 부릅니다. 우리가 입력 서식을 통해 정확한 값을 받기 위해서는 레이블(label)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레이블은 서식에 입력해야 하는 값이 무엇인지 설명하는 이름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단하게 레이블의 제공 여부와 레이블을 올바르게 제공하기 위해 주의해야 할 사항을 오류유형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입력 서식에 레이블이 없는 경우 입력 서식에 대응하는 레이블이 없다는 것은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값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상황과 같습니다. 레이블처럼 보이는 것이 있어도 스크린리더가 이를 읽지 못하면, 스크린리더 사용자에게는 레이블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Example placeholder로 레이블을 대체한 이..

오류유형으로 살펴보는 웹 접근성 지침 2020. 3. 24. 15:44

표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제공하기

표는 어떤 내용을 일정한 형식과 순서에 따라 알아 보기 쉽게 나타낸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표를 만들 때는 표의 일정한 형식과 순서를 알 수 있게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가 표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럼, 웹콘텐츠로서 표의 내용을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하려면 어떻게 표를 구현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표를 제공할 때 주의해야 할 웹 접근성 오류 유형 3가지를 알아 보겠습니다. 표의 제목과 요약 정보를 제공하지 않거나 불충분하게 제공한 경우 HTML5에서는 표의 제목과 요약정보는 요소를 사용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제목(caption)이 없거나, 표의 내용을 충분히 대변하지 못하는 caption을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나름대로 표를 분석..

오류유형으로 살펴보는 웹 접근성 지침 2020. 3. 24. 15:43

사용자가 요청했을 때 기능 실행하기

혹시 웹 콘텐츠를 탐색하던 중에 요청하지 않은 기능이 갑자기 실행된 적 있으신가요? 예를 들어 링크가 새 창으로 열리거나, 우리의 의도를 넘겨짚어 새 콘텐츠를 불러오는 등의 기능들이 우리가 원하지도 않았는데 실행되곤 하는 경우 말입니다. 이러한 경험을 하게 될 때 사람들마다 받아들이는 느낌은 상당히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저시력인과 시각장애인은 자신의 예측을 벗어난 화면에 혼란스러울 수 있고, 인지장애인은 새로운 상황을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웹 접근성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예상을 벗어난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몇 가지 오류 유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오류 유형을 통해 사용자가 예측가능한 콘텐츠와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

오류유형으로 살펴보는 웹 접근성 지침 2020. 3. 24. 15:37

이용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하기

웹 콘텐츠 중에는 본인인증 번호 입력과 같이 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것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보안상의 이유로 시간제한이 되어 있지만, 모든 사용자가 제한 시간내에 원하는 작업을 완료하기란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시각 장애가 있고 화면 판독기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화면의 레이아웃을 이해하고 정보를 찾아 컨트롤을 작동시키기까지 제한된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인지 또는 언어 장애가 있는 사람도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불안정한 네트워크 환경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를 제공할 때에는 유의해야 할 점이 많습니다.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제한된 시..

오류유형으로 살펴보는 웹 접근성 지침 2020. 3. 24. 15:3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SNC Lab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